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
로그인  마이페이지  장바구니  주문조회  광고안내  고객센터  기사제보
 
 
logo
 
 
전체보기
GNB
뉴스 마중물 웹키즈 여행 다큐 지역뉴스 포토뉴스
동영상
 커뮤니티 쇼핑몰
기사제보 기자신청 정기구독신청
 
 
 
 
 
> 동영상 > 화제의동영상
크게보기작게보기프린트메일보내기스크랩
대변 질감 묻고, "어디까지 배웠어" 윽박...유치원 교권 '사각지대'
트위터페이스북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밴드 네이버블로그
대변 질감 묻고, "어디까지 배웠어" 윽박...유치원 교권 '사각지대'
2023.08.08 10:42 입력



[앵커] 최근 교권 보호 여론이 확대되고 있지만, 이 논의 과정에서 소외된 사람들이 있습니다. 바로 유치원 교사들 이야기인데요. 아이의 대변 질감을 알려달라는 등 하루에도 수많은 악성 민원에 시달리지만, 정작 이들을 위한 법적 보호망은 없다고 합니다. 제보는 Y, 강민경 기자입니다. [기자] 21년 차 유치원 교사인 A 씨. 최근 아이들이 계단을 내려갈 때 한 명씩 손을 잡아주지 않았다가, 교사의 '안전 불감증'을 탓하는 학부모의 불만을 들었습니다. 때로는 베테랑 교사도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학부모 민원도 들어온다고 토로합니다. [A 씨 : 유치원 교사 : 선생님이 (우는) 아이를 안거나 데려가거나 하면 그것을 굉장히 불쾌하게, 아이를 납치하듯이 가져가면 안 된다. 나 굉장히 불편했다, 우리 아이가 얼마나 속상했겠느냐….] 교육 활동을 방해하는 악성 민원과 교권 침해는 유치원에서도 예외가 아닙니다. 최근에는 학부모가 학벌을 내세우며 유치원 교사에게 폭언을 쏟아낸 음성이 공개돼 파장이 일기도 했습니다. [학부모 (출처: 경기일보) : 뭐 하시는 거에요, 배운 사람한테, 당신 어디까지 배웠어요, 지금? 카이스트 경영대학 나와서 MBA까지 우리가 그렇게 했는데 카이스트 나온 학부모들이 문제아냐고!] 유치원 교사들이 악성 민원 경험담을 올리는 온라인 사이트입니다. 아이가 변을 본 시각과 변의 질감, 색을 자세히 알려달라고 요청받았다는 하소연부터, 머리카락이 길다고, 학기 중에 결혼했다고 항의를 들었다는 증언까지 내용도 다양합니다. 그러나 유치원 교사들은 목소리를 낼 길이 막혀 있다고 호소합니다. 현재 정치권이 추진하는 아동학대 면책법, 이른바 교권보호법은 교사가 '생활지도'를 할 때 잘못이 없으면 아동학대 관련 법을 적용하지 않겠다는 게 핵심입니다. 그런데 초·중등교육법과 달리, 유아교육법엔 교사의 '생활지도권'이 명시돼 있지 않습니다. 그러다 보니 유치원 교사들은 보장받을 '생활지도' 과정 자체가 없는 셈이라, 교권보호법 적용 대상에서도 빠지는 겁니다. [이경미 / 한국국공립 유치원연합회 회장 : 국가교육과정, 누리과정을 보게 되면 그 안에 기본 생활 습관이라든가 인성과 관련된 다양한 생활 지도를 하게 되어 있어요. 그런 것을 근거로 삼아서 명확하게 (유아교육)법이 개정되어서….] 유치원도 사회 규범을 처음으로 배우는 '학교'인 만큼, 초·중등 교원과 같은 수준의 교권 보호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게 교사들의 요구입니다. YTN 강민경입니다. 촬영기자 : 신홍 그래픽 : 김진호 YTN 강민경 (kmk0210@ytn.co.kr)

#유치원 #유치원교권 #악성민원

김선아 ksaloveyou@naver.com
기사에 대한 의견 (0개)
 
웃는얼굴
의견쓰기
아이디 비밀번호 확인
화제의 화제의동영상포토
null
이전
  • 역대 최고의 멜로디 100개
  • 로맨틱 기타 멜로디 30선
  •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선율이 감동을 전하다
 고객문자상담서비스
연락처
성 함
회사소개| 개인정보처리방침| 회원약관| 고객지원센터| 제휴 및 광고문의 |광고안내 |저작권안내 |기자회원신청 |기사제보 |정기구독신청 |다이렉트결제
logo